업종분류코드는 보통의 경우 "국세청 업종분류 코드"를 이야기 합니다.
개념적으로 회사의 돈(?)과 연관되는 모든 곳이 업종코드가 기준이 된다고 할수 있겠죠
1. 산업분류코드와 업종분류코드는 다릅니다.
산업분류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라고 하는 통계작성 목적의 표준분류입니다.
업종분류코드는 '국세청 업종분류'라고 하고 국세행정을 위한 분류 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에서는 업종분류코드가 사용됩니다.
아주 간단하게 보면 분류 코드가
5자리이면 산업분류코드이고, 6자리이면 업종분류코드입니다.
예시)
컴퓨터 제조업의
한국표준산업분류(10차)는 C26310 이며,
국세청 업종코드는 C300100입니다.
2. 산업 분류 코드는
https://kssc.kostat.go.kr에서 관리하네요
상세검색은
링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3. 국세청 업종분류코드
https://www.hometax.go.kr 에서 관리하네요
상세검색은
링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또는, 법인이라면, 세무사님께 문의하면 됩니다. ㅎㅎ
상세 검색 페이지를 잘~ 보면
산업분류코드와 업종분류코드가 매핑된 엑셀파일이 있네요
국세청 업종분류코드를 찾으신 뒤, 산업분류코드를 찾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이상입니다.
'경영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발급, 원천세 신고 확인 방법 (0) | 2021.01.25 |
---|---|
5인 미만 10인 미만 기업 법정의무교육 (0) | 2020.12.17 |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고객소통 수단으로 카카오플랫폼 (0) | 2020.02.23 |
실직자 의료보험 처리하기 - 의료보험 임의계속가입 2 (0) | 2019.05.09 |
실직자 의료보험 처리하기 - 의료보험 임의계속가입 1 (0) | 2019.04.08 |
2019년 IT서비스 기업 - 정부지원 사업 (0) | 2019.01.03 |
저작권에 대해 알아보자 - CC 라이센스를 중심으로 (0) | 2018.07.30 |
지방세, 국세 납세 증명 발급 방법 (0) | 2018.06.28 |
드라마, 영화 캡처 저작권 블로그 (0) | 2018.05.28 |
중소기업 확인서 발급하기 / 소기업 확인서 발급하기 (1)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