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은 보통 듀얼 부팅부터 시작하시죠
(윈도우를 버리면 웬지 불안하신 분들...)
그럴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던 NTFS 디스크가
리눅스에서 마운트는 되는데 파일 수정 기능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럴때는 리눅스에 해결할수 있는게 아니라,
윈도우에서 해결을 해야 합니다.
윈도우10 빠른 시작 기능 끄기
윈도우10 빠른 시작 기능 기능은 조금 부팅 및 종료가 빠르게 되긴하나,
램디스크 Cache에 이전 파일정보가 남아있게 되어, 스토리지용량에도 조금 해가 되기도 합니다.
전원 및 절전 옵션으로 들어갑니다.
들어가셔서 전원 단추 작동 설정 선택
빠른 시작 켜기(권장) 체크 해제
이런 후 리부팅을 1~2번 해준 다음
리눅스에서 접근하면 수정이 정상적으로 됩니다.
'사무용 리눅스-교육용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으로 PC를 원격 제어 하는 방법 - linux 계열 (0) | 2019.05.14 |
---|---|
디스플레이 나이트 모드 설정 (모니터 청색광 방지) 리눅스 (0) | 2019.05.09 |
우분투를 버려야 할듯. (0) | 2019.04.16 |
우분투 - 개인용 데스크탑으로 쓰기 2편 - 꾸미기 (0) | 2019.03.11 |
우분투 - 개인용 데스크탑으로 쓰기 1편 - 설치후 세팅 (0) | 2019.03.07 |
우분투 - 리눅스 크롬 플래시 지원 (0) | 2019.03.04 |
우분투 - Virtual Box USB인식 - USB 마운트 (0) | 2019.03.04 |
이제는 필수적인 Docker (0) | 2018.06.25 |
Deepin 한글 키보드 설정 - korea keyboard setting (0) | 2018.04.25 |
Seafile 클라우드 서비스 자작 설치기 (2) | 2018.04.04 |